TEXT
나의 작업은 “강박의 해소” 에서 출발한다.
회화를 시작할 때마다 표면을 완벽하게 매끄럽게 만들려는 강박에 사로잡혔다.
그러나 애써 바른 젯소를 다시 갈아내는 모순적 행위를 반복하면서,
결국 고르지 못한 바탕에서는 붓질조차 이어갈 수 없었던 경험이 내 작업의 동기가 되었다.
이후 나는 그 강박을 피하지 않고, 오히려 작업 속으로 끌어들였다.
패널 위에 색을 여러 겹 쌓아 올려 울퉁불퉁한 표면을 만들고, 사포·그라인더·커터칼 등으로 갈아내며 흔적을 남긴다.
물감이 쌓이고 지워지는 과정 속에서 표면은 해체와 재구성을 거듭한다.
그 결과물은 구체적 형상이 아닌 추상적인 흔적으로 드러나며, 단순한 자국을 넘어 시간과 몸의 움직임, 감각의 기록이 된다.
대표적인 작업으로 〈Flat〉 시리즈가 있다.
수많은 물감 층으로 이루어진 이 작업은 나의 강박과 결점을 드러내듯 표면을 거칠게 남긴다.
하지만 동시에 사포질을 통해 매끄러운 질감으로 전환하며, 갈려나간 자리에서 숨겨져 있던 색채들이 불규칙하게 드러난다.
이는 나의 움직임이자 강박의 흔적이며, 정신과 몸의 리듬을 시각화한 결과이다.
〈No Plan〉 시리즈 역시 겹겹이 쌓은 물감 층 위에 전동 그라인더로 선을 긋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일상에서 물건을 정해진 자리에 맞추려는 내 강박적 습관을 시각화한 것이다.
그라인더는 고속 회전으로 인해 세밀한 조절이 어려워, 의도와 다르게 불규칙한 형상이 발생한다.
반듯한 선을 긋고자 하는 의도와 불규칙하게 흩어지는 결과가 충돌하며, 나는 그 안에서 강박 속의 또 다른 자유를 발견한다.
또 다른 작업인 〈Imposter Syndrome〉 시리즈는 가면증후군을 주제로 완벽함에 대한 갈망과 그로 인한 불안을 탐구한다.
매끄러운 표면 아래 감춰진 흔적과 얼룩들은 숨기려던 불안을 드러내며,
반복적인 덮어쓰기와 갈아내기의 과정 속에서 완벽을 향한 욕망은 오히려 더 깊은 상처 같은 형상을 남긴다.
이 작업을 통해 인간이 완벽을 추구하며 마주하는 불안과 모순을 표현하고자 한다.
나에게 추상은 닫힌 결과가 아니라 열린 과정이다.
작품은 관객과의 만남 속에서 다시 움직이며, 예기치 못한 해석과 새로운 감각이 스며들어 의미가 확장된다.
작품은 나로부터 벗어나 관객의 경험과 얽히며 또 다른 흐름을 만들어간다.
결국 나의 작업은 강박을 드러내고 해소하는 개인적 행위에서 시작하지만, 타인의 해석과 확장을 통해 대화로 이어진다.
그 열린 과정 속에서 나는 예술과 삶, 나와 타인 사이의 관계를 탐구한다.
My work begins with the “relief of compulsion.”
Whenever I start painting, I become obsessed with the compulsion to make the surface perfectly smooth.
However, I found myself repeatedly sanding down the gesso I had carefully applied, a contradictory act that I could not escape.
The experience of being unable to even continue brushstrokes on an uneven surface eventually became the motivation for my work.
Since then, I have not avoided this compulsion but rather drawn it directly into my practice.
On the panel, I build up multiple layers of color to create an uneven surface, then leave traces by sanding, grinding, and cutting with tools such as sandpaper, grinders, and cutters.
Through the process of accumulating and erasing paint, the surface undergoes repeated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he result is revealed not as concrete forms but as abstract traces, which become more than mere marks—they are records of time, bodily movement, and sensory experience.
A representative body of work is the 〈Flat〉 series.
Composed of countless layers of paint, these works leave the surface rough, as if exposing my compulsions and flaws.
At the same time, sanding transforms the texture into smoothness, while the carved areas unpredictably reveal hidden colors.
This becomes both the trace of my movements and the mark of my compulsions, visualizing the rhythm of mind and body.
The 〈No Plan〉 series is also created by incising lines with an electric grinder on layered surfaces of paint.
This work visualizes my compulsive habit of arranging objects in fixed positions in daily life.
Because the grinder spins at high speed, it resists fine control, producing irregular shapes different from my intentions.
The collision between the will to draw straight lines and the irregular results creates a space where I discover another kind of freedom within compulsion.
Another body of work, the 〈Imposter Syndrome〉 series, explores the desire for perfection and the anxiety it generates.
The traces and stains hidden beneath smooth surfaces reveal the anxiety that was meant to be concealed.
Through the repeated process of covering and sanding away, the desire for perfection paradoxically leaves behind forms like deeper wounds.
Through this work, I seek to express the anxiety and contradictions faced by humans in their pursuit of perfection.
For me, abstraction is not a closed result but an open process.
The work begins to move again in its encounter with the viewer, as unexpected interpretations and new sensations permeate and expand its meaning.
The work departs from me and entangles itself with the experiences of the audience, creating another flow.
Ultimately, my practice begins as a personal act of exposing and relieving compulsion, but through interpretation and expansion by others, it becomes a dialogue.
Within this open process, I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rt and life, between myself and others.